EU CBAM(탄소국경조정제도)에 하나에코로 신속히 대응하기
![](/images/posting/environment-general/2024/202401-haneco-cbam-hero.png)
철강, 알루미늄 등 탄소다배출산업 기업들은 원활한 사업 영위을 위해 EU CBAM(탄소국경조정제도)에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.
하나에코 | Hana.eco는 이미 한국 배출권거래제/목표과리제 대상 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CBAM 대응을 위해 최적화되어 있습니다. 기업은 하나에코와 같은 기후규제대응 통합 시스템을 통해 기업의 탄소관리와 기후규제 준수 프로세스를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.
1. CBAM 개요
CBAM의 배경
CBAM은 EU 역내로 수입되는 상품에 대하여 EU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대상 시설군에서 생산되는 동일 상품이 부담하는 탄소가격과 동일한 비용을 부과하기 위한 정책 도구입니다.
![](/images/posting/environment-general/2024/202401-cbam-01-intro.png)
생산자는 ETS 배출권으로 CO2 배출량을 충당해야 합니다.
수입업자는 가격 차이를 충당하기 위해 CBAM 인증서를 구입해야 합니다.
CBAM 의무
- CBAM 대상 품목: 철강, 알루미늄, 수소, 비료, 시멘트, 전기
- 대상인 품목 중 수입액이 €150 이하인 경우는 규정에 포함이 안됩니다.
- 전환기간(2023/10/1~ 2026.1.31) 동안 측정(Measure)과 분기별 보고 (Report)는 의무입니다.
- 준수하지 않을 경우 과징금은 배출량 톤당 10 유로에서 50유로 부과됩니다.
- 2회 연속 부정확한 보고서를 제출할 경우 더 높은 과징금이 부과될 수도 있습니다. 과징금을 낼 경우, 확정기간 전에 CBAM 신고인 승인이 거부되어 EU 내 상품 수입 자체가 금지될 수도 있습니다.
확정기간(2026.1.31~)에는 측정(Measure), 연별 보고 (Report), 검증 (Verification), CBAM 인증서 구입이 의무입니다.
2. CBAM 보고 준비 사항
CBAM 보고서 작성 절차
CBAM 보고서 생성은 크게 4단계에 걸쳐 이루어집니다.
![](/images/posting/environment-general/2024/202401-cbam-02-process.png)
단계 1. 먼저 제품이 EU CBAM에 해당하는지 확인합니다
- CN 코드를 통해 CBAM 대상 상품을 식별합니다.
- 시설군과 제품별 생산공정을 정의합니다.
- 전구물질 (원부자재) 스펙을 확보합니다.
단계 2. 배출활동 데이터를 확보합니다
- 연료 사용량, 전력 소비량 등 배출활동 정보를 확보합니다.
- 전구물질 총 투입량을 확보합니다.
- 월별 제품 생산량 정보를 확보합니다.
단계 3. 내재배출량을 산정합니다
- 내재배출량을 산정합니다.
단계 4. 보 고
- 분기 보고서를 생성합니다.
온실가스 배출 경계 설정
온실가스 배출하는 경계 설정이 매우 중요합니다.
경계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EU 제품 생산을 위해 일련의 공정을 수행하는 배출시설은 모두 포함
- 생산공정이 100% 생산능력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부대시설 포함 예.열병합설비, 연도가스 처리장치, 유틸리티 시설: 압축공기, 용수공급시설 등 유틸리티 시설도 생산공정 경계에 포함되어야 함
- 둘 이상의 생산 공정(예: 여러 공정에 스팀을 공급하는 보일러)에서 사용되는 배출시설은 가상으로 분할
- 차량(지게차, 트럭, 불도저 등)의 이동배출시설은 제외
참고 "EU탄소국경조정제도전환기간이행가이드라인_v2_0_0" - p.73
기여배출량 및 내재배출량
CBAM을 이야기하며 내재배출량이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. 그 개념을 짚어보겠습니다.
생산 공정 수준의 배출량을 기여배출량이라 합니다.
생산공정 시스템 경계는 생산공정에 유출입되는 모든 연료, 에너지, 물질을 포함합니다.
![](/images/posting/environment-general/2024/202401-cbam-03-attrib-em.png)
내재배출이란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직접 배출과 생산 과정에서 소비되는 전기의 생산으로 인한 간접 배출을 의미합니다.
![](/images/posting/environment-general/2024/202401-cbam-04-embedded-em.png)
CBAM 보고서 내용 설명
크게 기본 정보, CBAM 수입 상품 정보, CBAM 상품 배출량 세가지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.
- 기본 정보
- 수입사
- 주소 등
- CBAM 수입 상품
- 상품 HS/CN 코드, 원산지, 물량
- 총 배출량
- 증빙자료 등
- CBAM 상품 배출량
- 상품 생산국가, 사업자 (운영사)
- 시설 배출량
- 탄소가격 등
3. CBAM 보고서 준비에 필요한 자료 목록
배출량 산정을 위한 활동자료
- 배출권거래제/목표관리제 해당 기업이라면 직전년 온실가스 명세서
- 계측기 목록
- 이전연도 공정별 전력 소비량
- 각 공정별 연소 소비량
- 활동자료 증빙 (전력 고지서, 가스 고지서)
CBAM 보고서 작성을 위한 필수 자료
- 공정도 - 경계 정의에 필요
- EU 수출제품 CN코드 목록
- 원재료 투입량(월별, CN코드별)
- 해당시 스크랩 투입량(월별, 해당 CN코드별)
- 총생산량(월별, CN코드별)
- EU 수출량 수입사별(월별, CN코드별)
- 공급사 배출계수 (없을 경우 기본값 사용함)
4. CBAM 산출물
CBAM Communication Template
CBAM Communication Template은 유럽연합에서 제공한 툴입니다. 운영사와 수입사가 자발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 주 목적은 제품 내재배출량 산정과 탄소가격 산정을 위한 것입니다.
CBAM communication template for installations - Final Draft 07.11.2023
CBAM XML 리포트
최종적으로 수입사는 전환기간동안 유럽연합 레지스트리에 분기별로 정보를 기입해야합니다. 보고 형태는 XML 포맷입니다.
체계적인 탄소관리는
믿고 함께 가는 든든한 탄소관리 디지털 코파일럿 하나에코와 함께
![](/images/posting/environment-general/2024/202401-haneco-cbam.png)
하나에코
- 배출활동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.
- 제품, 공정 및 생산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.
하나에코 CBAM을 통해 CBAM 대상 품목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며, 수입자별로 편리하게 보고서를 생성하여 제출할 수 있습니다.
참고 문서
- 기업이 탄소국경조정제도(CBAM)에 대해 알아야 할 것 (하나루프 블로그)
- 탄소국경조정제도(CBAM) 보고서에 포함할 내용 (하나루프 블로그)
-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전환기간 이행 가이드라인 (버전 2.0.0), 2023-12-13
- “Guidance document on CBAM implementation for installation operators outside the EU”, 22 DECEMBER 2023
- Questions and Answers: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(CBAM), 22 DECEMBER 20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