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U 에코디자인 규정(ESPR)

ESPR
제도 개요 및 입법 배경
□ EU는 지속가능한 제품 체계 구축을 위해 기존 '에코디자인 지침'을 전면 개정하고, 새로운 규제인 에코디자인 규정(ESPR)을 도입함
- 「유럽 그린딜」 및 「신순환경제 실행계획」의 일환으로 자원 순환성과 지속가능성 강화를 위한 제품 규제 체계 개편 목적
- 2022년 3월: 기존 「에코디자인 지침(Directive 2009/125/EC)」을 전면 개정하며 「에코디자인 규정(ESPR)」 제안
- 2024년 7월: 해당 규정 정식 발효
□ 에코디자인 규정의 특징
- 적용 대상과 규제 범위가 확대된 전 생애주기 기반 환경 성능 규제
- 기존의 에너지 관련 제품에 한정된 규제에서 모든 유형의 물리적 상품(Physical Goods)으로 적용 대상 확대
- 설계 → 제조 → 유통 → 사용 → 폐기 전 과정에 걸쳐 환경기준 적용
□ 주요 환경 기준 요소
- 에너지 효율 향상
- 자원 재활용 가능성
- 제품 내구성 및 수리·재제조 용이성
- 유해물질 최소화
□ 목적
- 순환경제 전환 촉진과 지속가능 제품 설계를 위한 강제력 있는 법적 기반 마련

에코디자인 요구사항
적용 대상 및 주요 요구사항
□ 적용 범위 확대
- 개정된 에코디자인 규정(ESPR)은 모든 물리적 제품에 적용
- 기존 에너지제품 중심에서 소비재·산업재 전반으로 규제 범위가 대폭 확대
□ 제1차 에코디자인 우선순위 계획 (2025-2030년)
2025년 4월 EU 집행위원회는 제1차 '에코디자인 우선순위 계획(Working Plan)'을 채택하여 우선 적용 대상 품목군을 선정
우선 적용 대상 품목
- 소재 및 소비재: 철강, 알루미늄, 섬유(의 류·신발), 가구(매트리스 포함), 타이어, 세제, 페인트, 윤활유, 화학물질
- 전기·전자 및 산업재: ICT 제품군 및 가전(스마트폰, TV, 컴퓨터 등), 산업용 전동기, 펌프, 배터리, B2B 제품군(산업용 팬, 용접기기 등)
- 향후 확대 예정 대상: 시멘트, 건설자재 등 탄소집약 산업은 2028년 말~2030년 초 사이 별도 위임법령 도입 예정
시행 일정
- 해당 품목에 대해 이행규정(Delegated Acts)을 순차 제정 예정
- 규정 적용은 2027년부터 본격 시행 예정
□ 규정 준수 의무
- 규정 불이행 시, 해당 제품은 EU 시장 진입이 불가
- 역내 수출기업 및 공급망 참여 기업은 품목별 이행규정 제정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, 조기 대응 및 기술·데이터 체계 정비 필요
□ 디지털 제품 여권(DPP) 의무화
- 에코디자인 규정은 디지털 제품 여권(DPP)을 통해 제품의 지속가능성 정보를 전 생애주기 기준으로 기록·공유하도록 의무화
- 각 제품에 대해 구성 재료, 탄소발자국, 내구성, 재활용 가능성 등 환경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제공
- EU 역내 시장 접근 시 필수 요건으로 작동할 예정
디지털 제품 여권(Digital Product Passport, DPP)
□ DPP 개념
- 제품의 지속가능성 정보를 전 생애주기 기준으로 통합·제공하는 디지털 기반의 '제품 신원증명서'
- 제품, 구성품, 원재료에 대한 정량·정성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
- 제품의 환경 성능, 수리·재활용 가능성 등을 소비자·유통사·수입업체가 명확히 확인 가능하도록 함
- 정보 제공 방식은 QR코드 등 데이터 캐리어(DataCarrier) 활용 설계
□ 주요 포함 정보 항목
- 제품 고유 식별 정보
- 에코디자인 요건 관련 정보
- 수리 가능성, 내구성
- 탄소발자국
- 구성 재료 및 원자재 정보
- 공급망 정보 및 원산지·출처 정보
- 우려물질 및 유해물질 정보
- 제품 사용법 및 유지관리 지침
- 재활용 및 폐기 처리 방법 등
□ 기능 및 운영 요건
- DPP는 제품의 라벨 및 설명서 보완 수단으로 기능
- 데이터의 정확성, 신뢰성, 진위성, 무결성 유지가 필수
- 개방형 표준 기반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다양한 제품군 간 상호운용성(Interoperability) 보장 필요
- 관련 정보는 제품 본체 또는 포장에 명확히 표기되어야 함
□ 구현 방식
- DPP의 구체적 항목 및 구현 방식은 품목별 이행규정(Delegated Acts)을 통해 순차 확정 예정
- 업종별 대응 시, 이행규정 초안 및 가이드라인 모니터링 필요

디지털 제품 여권에 포함되는 정보